본문 바로가기
전기적 인간의 심리진화

12. 적극적 진동으로 밝은 에너지 충전하기

by detailer 2023. 12. 5.
반응형

몸의 진동을 의도적으로 만들어내서 당신이  원하는 상태로 이끌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떤 상태를 원하는지 일단 알아야겠죠. 그 전에 일단, 당신이 지친 상태라면 먼저 최소한의 에너지는 채워야 합니다. 이왕 채울 거, 밝고 건강하고 운빨이 좋은 에너지로 채우면 좋겠죠.  여력이 조금씩 나면 그 진동을 내가 원하는 쪽으로 적극적으로 방향을 잡는 겁니다. 

강하고 밝은 에너지를 뿜는 사람의 진동 느끼기 

어떤 사람에게서는 늘 밝은 에너지가 느껴집니다. 방 안에 그런 사람이 들어올 때, 갑자기 방안이 활기차지고 명랑해지며 밝아지는 것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그 사람이 무슨 재미있는 말을 했다거나 좋은 소식을 들고 온 것도 아닙니다. 그 존재 만으로 밝은 에너지를 느끼게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활기”에 찼다는 말은 그 사람 자체가 기분 좋을 뿐 아니라, 그 밝은 기운이 넘쳐 사람들에게 전달되었다는 뜻입니다. 즉, 그 사람에게서 진동하는 에너지가 주위 사람에게 영향을 끼친 것입니다. 이런 사람들은 건강하게 진동하고 있는 전기적 인간으로서의 예를 보여줍니다.  

 

좋은 에너지를 뿜는 사람처럼 진동해보고, 그 에너지 충전하기 

그 사람이 가진 운 상태, 심리상태를 흉내 낼 수 있는 쉬운 방법이 있습니다. 좀 더 활발히 움직이는 것입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인간의 움직임은 나이가 들수록 횟수가 줄어든다고 합니다. 유아, 아동, 성인들의 움직임을 1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 고유한 동작(반복되지 않고 서로 구별되는) 횟수가 유아는 약 1000개, 10세 아동은 약 300개, 30세 성인은 약 100개였다고 합니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목적이 있어야만 몸을 움직입니다. 그래야 에너지 비축이 가능하고 유사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신체적 움직임이 다양했기 때문에 뇌가 자극되었지만 나이가 들면서 그 자극은 줄어들게 됩니다. 그러니  세포들은 젊음의 활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동력도 점점 받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우리는 의식적으로 몸을 계속 움직여줄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보다 조금 더 움직이는 것만으로도 머리가 상쾌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움직이는 것 자체가 산소를 더 많이 마시게 하고, 산소는 온 몸에  에너지를 더 잘 만들 수 있게 해주고, 이 에너지의 20% 이상이 뇌로 가게 됩니다. 에너지를 공급받은 뇌는 움직임으로부터의 자극과 동시에 에너지를 받게 되니, 좀 더 활성화 되고, 좀 더 활력있게 변하고상쾌해집니다. 우울감이 감소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죠. 자전거 바퀴를 돌려서 전기를 만들어 충전해서 TV 전원을 켜는 것처럼, 우리 몸도 움직이면 전기가 발생하고, 에너지가 생깁니다. 인간은 단순한 기계가 아니지만,  기본적인 기계적 원리가 당연히 작동합니다. 기계는 안 쓰면 망가집니다. 사람 몸도 안 쓰면 못 쓰게 됩니다. 전원을 넣어야 기계가 돌아갑니다. 사람도 밥을 먹어야 움직일 힘이 납니다. 자전거는 계속 페달을 밟아야 쓰러지지 않습니다. 사람도 계속 움직여야 계속 건강할 수 있습니다.  좋은 에너지는 건강한 에너지를 가져야 충전할 수 있습니다.  좋은 음식과 기분좋은 운동으로 충전하면 됩니다. 그리고 내가 원하는 상태를 이미 장착한, 에너지 좋은 사람들이 뿜는 건강한 진동에 가까이 다가가 라디오 주파수 맞추는 것처럼 동기화하면 됩니다.  결국 그 에너지에 공명하는 스스로를 느끼게 됩니다. 그 사람의 기분을 느끼기 시작하면서 그런 사람의 진동을 장착하게 됩니다.  

 

진동의 원리: 결합조직 미세 전류로 에너지 발생 

기운이 넘치려면 몸에 기운을 보내야 하는데, 운동을 하면 평소보다 더 빠르고 많은 호흡을 하게 되고, 몸에 축적되었던 쉬고 있던 에너지를 꺼내서 더 많이 쓰게 됩니다. 에너지를 사용하는 행위 자체가 바로 움직임이고, 이 움직임은 몸의 진동을 만들어냅니다. 또, 평소에는 쓰지 않는 근육과 뼈를 쓰는 운동을 하면 신체의 각 부위에 기계적인 긴장을 줄 뿐 아니라 뜀뛰기를 하는 경우 땅에 닿는 순간의 압력 자극까지 주게 됩니다.

 

Dense Fibrous Connective Tissue.
Ed Reschke / Photolibrary / Getty Images
Dense Fibrous Connective Tissue. Ed Reschke / Photolibrary / Getty Images

 

활발히 움직일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조직 중의 하나가 뼈와 인대와 같은 결합조직입니다. 섬유소가 많은 이런 결합조직들은 운동으로 기계적인 스트레스가 생기면 그 압력 때문에 작더라도 변형이 생기고, 이에 따른  피에조 전하(압력전하 또는 압전, piezo electric charge)를 발생시킵니다.  결합조직에서 발생한 이 미세한 전류는 주위 세포나 조직으로 전달됩니다. 세포를 연결하는 결합조직의 전류를 인식한 주위 세포들은 이러한 변형에 대응하는데 필수적인 세포 구성성분들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활동을 더 강하게 합니다.  결국 온몸으로 이러한 흥분 상태가 전자기적으로 발생되어 퍼져나갑니다. 전류는 몸의 회로를 따라 흐르게 되므로, 가장 기본적인 단위인 각각의 세포 수준에서 모두 전자기장을 발산하게 됩니다.

근막경선 해부학 p25
근막경선 해부학 p25

 

예를 들어 평소에 사용되지 않는 근육을 움직이는 동작이 이루어지면 이 전류가 더 많이 발생합니다. 여러 운동 중 요가는 몸의 구석 구석에 존재하는 세포들에게 피에조 전하를 발생시키므로 투입 노력과 시간에 비해 그 운동 효과가 크다고 합니다.  몸을 당겨질 수 있을 만큼 당기고 펴며 압력을 가하는 요가와 같은 움직임은 특히 이런 결합조직 모양에 변형을 주고, 이에 따라 피에조 전하라는 미세한 전류가 발생되어 가까운 곳에 위치한 세포가 이를 인식하여 그 주위 세포 사이에 존재하는 성분의 양을 증가 또는 감소, 변화시켜 그 동작을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합니다. 평소에 쓰지 않았던 근육들을 쓰게 만들면 그 주위의 세포가 어떤 움직임과 전하를 감지하고 그 세포가 해야 할 일을 하게 만들어줍니다. 그래서 어려웠던 요가 동작도 반복하면 더 잘 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말은 요가와 같은 정적인 운동으로 세포 수준부터 활성화시키게 하는 원리가 있다는 것이죠.     

깊은 호흡

기운도 없는데 무슨 운동이냐 라고 말하는 분도 있으시겠지만, 피에조 전하는 꼭 운동할 때만 생기는 것이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숨을 쉴 때 생기는 흉곽의 반복적인 움직임에서도 생깁니다. 호흡은 살아있는 한 할 수 있는 가장 힘이 안 드는 운동입니다. 하지만 의식적으로 좀 더 깊게 흉곽을 의식적으로 부풀리거나 위축시키는 연습으로 이런 효과를 노려보면 더 좋겠습니다. 명상수련을 하면 호흡이 규칙적이고 깊기 때문에  몸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따뜻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것이 그런 효과 중 하나로 일어난 것이 아닐까요? 이 움직임은 불안반응을 관장하는 교감신경계의 활성을 잠잠하게 만들기 시작합니다. 불안할 때에는 얕은 숨을 쉬게 됩니다. 호흡을 규칙적으로 천천히 깊게 하게 되면 부교감 신경계를 통제하는 미주신경활성화로 교감신경과 균형을 이루게 됩니다. 질 좋은 호흡은 예측가능하고 충분한 양의 산소 공급과 혈액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고, 복식호흡에 따른 흉곽의 뼈의 움직임, 그에 따른 주위의 결합조직의 모양 변화는 피에조 전하를 발생시켜 주위 세포를 깨웁니다. 세포 간 의사소통은 더욱 활발해지며, 안정된 진동상태를 인위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여기에 더불어, 만약 명상상태로 들어간다면 8~16 Hz에 맞추어질 것이며, 지구의 고유주파수인 슈만공명(7.83 Hz)에 공명하도록 조율됩니다. 지구의 포근한 파동과 하나가 됩니다고 상상해 보십시오. 라디오 채널을 맞출 때 라디오 주파수를 맞추어 소리 정보를 얻듯이, 내 몸 전체의 주파수를 8~16 Hz로 맞춘다면 지구가 주는 유익한 정보와 호의적인 진동파를 온몸에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요?


지금 할 일

1. 규칙적인 호흡을 하십시오.  특히 들숨과 날숨 사이에 호흡을 잠시 멈춰서 피에조 전압을 극대화하십시오
2. 특히 안 쓰던 근육을 쓰고 뼈를 자극시키고, 요가를 함으로써 힘줄을 최대한 변형시키는 움직임을 만드세요. 스스로 전력발전소가 될 수 있습니다.  


11. 스마트한 음악 선택으로 우울한 마음을 부스팅하기

12. 적극적 진동으로 밝은 에너지 충전하기

13. 주위의 좋은 에너지를 찾아가기

14. 지구의 진동

15. 세상의 진동이 우리 몸에 하는 일




반응형